11년 만의 대북특사 파견..'북미대화 중재' 승부수

[앵커]

그동안 대북특사들은 크게 남북정상회담과 북핵문제 돌파구 마련을 위해 파견됐습니다.

2000년엔 박지원, 임동원 특사가 첫 남북 정상회담을 이끌었고, 2007년에도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이 방북해 2차 남북정상회담을 성공시켰습니다.

반면 북핵 문제에 있어선 특사의 역할에 한계를 보였습니다.

북핵 위기가 고조되던 2003년 파견됐던 임동원 특사는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만나지 못했고 2005년 파견됐던 정동영 특사는 북한의 6자회담 복귀까지는 이끌어냈지만 근본적 문제 해결에는 이르지 못했습니다.

이번 대북 특사는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입장을 확인하고 북미,남북 대화의 실마리를 함께 풀어야 하는 쉽지 않은 과제를 안고 파견될 전망입니다.

김기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문재인 정부 첫 대북특사는 평창 올림픽을 계기로 물꼬가 터진 대화 분위기를 북미 대화로 연결시키기 위한 승부수로 보입니다.

비핵화를 전제로 한 대화에 임하겠다는 미국과 핵보유국을 기정사실화한 상태에서 군축회담을 하려는 북한 사이의 간극을 어떻게 좁힐 수 있느냐가 관건입니다.

이를 위해 대북특사는 우선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비핵화에 대한 의중을 정확히 파악하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성장/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 : "북한이 과연 북한이 국제사회와 타협할 의사가 있는 지 확인하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이어 북미 대화를 위해선 최소한 비핵화 원칙에 대한 동의가 필요하다는 미국의 입장을 설명하며 관련 의지를 표명하도록 설득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다음달 초 한미 군사훈련이 재개되면 기껏 조성된 대화 분위기가 사라지고 다시 긴장 국면으로 될 가능성을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문성묵/문성묵 국가전략연구원 통일센터장 : "북한의 비핵화 결단이 없으면 (남북 정상회담도) 될 수 없다라고 하는 확고한 입장을 취하는 것이 북한의 변화를 견인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 특사 방문에서 북한의 비핵화 관련 의지를 확인한 후 이어서 미국의 문턱을 낮추는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