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해경, 다대포항 해상크레인 화재 진압

부산해양경찰서(서장 박승규)는 2월 9일 오후 7시 37분경 부산 다대포항 앞 500미터 해상에
정박중이던 해상크레인 A호(1,420톤, 작업용 부선, 부산선적, 승선원 1명/당직 근무자)에
화재가 발생해 소방과 합동으로 진화했으며 인명 및 해양오염 피해는 없다고 밝혔다.

부산해경에 따르면, A호는 지난 7일부터 다대포항 앞 해상에서 정박해 작업 대기 중인 해상크레인으로,
이날 오후 7시경 당직 근무자 B씨가 선내 전기가 들어오지 않아 확인하던 중 선미 외부 갑판의
발전기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을 발견, 119 경유 부산해경 상황실로 신고한 것이다.

신고를 접수한 부산해경은 경비함정, 다대파출소 연안구조정 등을 사고해역으로 급파해 진화
작업을 실시했고, 이어 도착한 소방정과 소방대원도 합세해 오후 7시 37분경 화재 진화를 완료했다.

화재 발생 직후 당직근무자 B씨는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부산해경은 B씨를 상대로 정확한 사고경위를 조사중에 있다.

인천해경, 68일간 국가안전대진단 실시
인천해양경찰서는 2월 11일부터 4월 19일까지 68일간 유관기관 등과 관내 해양시설을 대상으로
해양오염사고 대비·대응 태세 점검 등 총괄적인 안전실태를 점검하는 국가안전대진단에 나선다고
2월 8일 밝혔다.
인천해양경찰서(서장 이방언)는 2월 11일부터 4월 19일까지 68일간 유관기관 등과 관내 해양시설을
대상으로 해양오염사고 대비·대응 태세 점검 등 총괄적인 안전실태를 점검하는 국가안전대진단에
나선다고 2월 8일 밝혔다.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이번 점검은 인천시청, 인천지방해양수산청 등 12개 기관과 업체의 민ㆍ관
전문가를 편성하여 관내 대형 기름저장시설 및 하역시설 58개소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점검시설
대상 안전점검표를 사전 배포하여 자체점검을 실시하도록 하고, 대형 해양오염사고 위험성이 높은
300kl 이상 대형 기름저장시설 31개소 등은 민ㆍ관 합동으로 점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주요 점검사항은 ▲해양오염비상계획서 현장 적용여부 ▲해양오염방지관리인 준수이행 여부
▲방제자재ㆍ약제 법적 기준량 비치여부 ▲오염물질 해상탈락 예방조치 실태 등이다.

특히 국가안전대진단을 통해 지적된 사항에 대해서는 개선여부를 확인하고, 개선되지 않은
사업장에 대해서는 완료될 때 까지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불법조업 단속하는 해경 형사기동정 절반 이상 노후화

어민들의 불법조업 등을 단속하는 해경 형사기동정의 절반 이상이 건조된 지 오래돼

노후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척 중 현재 운항이 정지된 형사기동정은 서귀포해경서 P-113과 속초해경서 P-117 등 2척이다.

박 의원은 "해경이 해상에서 불법 잠수기 어선을 발견하고도 노후화된 형사기동정 탓에

 현장 검거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배정된 예산도 제대로 집행하지

못하는 모습을 볼 때 형사기동정을 새로 건조하려는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전국 20척 중 11척 선령 16년 이상..2척은 운항 정지
형사기동정 P-135호

 어민들의 불법조업 등을 단속하는 해경 형사기동정의 절반 이상이 건조된 지

오래돼 노후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완주(충남 천안을)

의원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국 19개 해경서에

형사기동정 20척이 배치돼 있다.

그러나 이들 형사기동정 중 13척(65%)이 선령 16년 이상으로 노후했거나 선령

22년 이상으로 운항이 정지된 상태다.

13척 중 현재 운항이 정지된 형사기동정은 서귀포해경서 P-113과 속초해경서 P-117 등 2척이다.

노후화하지 않은 나머지 형사기동정 7척의 선령도 모두 11년 이상으로 오래된 선박이다.

해경은 이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2016년부터 형사기동정 7척을 새로 건조하고 있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2016년 관련 예산 1억5천만원 전액을 집행하지 못해 이월시켰고, 지난해에는

예산 24억원 가운데 집행액이 7억4천만원(30%)에 불과했다. 올해도 관련

예산 111억원 중 65억원(58%)만 집행한 상태다.

박 의원은 통영을 비롯한 남해안 일대에 평균 45노트로 운항하는 불법 잠수기 어선이

출몰하고 있지만 40노트 이상 속도를 낼 수 있는 형사기동정이 전국에 단 1척뿐이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해경이 해상에서 불법 잠수기 어선을 발견하고도 노후화된 형사기동정 탓에 현장

검거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배정된 예산도 제대로 집행하지 못하는

모습을 볼 때 형사기동정을 새로 건조하려는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해경, 내년 예산안 1조3687억..전년比 7.9%↑,구조·안전 강화에 중점

해양경찰청(청장 조현배)은 2019년도 정부예산안에 해양안전을 위해

1조3687억원을 편성했다고 4일 밝혔다.

조현배 해경청장은 "국민이 안전하게 바다를 이용하고 해양경찰이

각종 해양에서 발생하는 사건·사고를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예산의 뒷받침이 필수적"이라며 "2019년 예산안은

해양경찰 구조·안전의 원년 예산을 확보한다는 각오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정부세종2청사 해양경찰청 청사

해양경찰청(청장 조현배)은 2019년도 정부예산안에 해양안전을 위해1조3687억원을 편성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올해 예산 1조2687억원 대비 1000억원, 7.9% 증액된 규모다.

해경은 예산이 확정됨에 따라 Δ구조·안전 인프라 확충(775억원) Δ각종 해양재난·사고 현장

대응력 및 조직력 강화(1305억원)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해양사고 발생 시 구조 대응시간 단축 등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남해와 서해에만

배치됐던 대형헬기를 동해권에 1대를 추가로 배치하기로 했다.

또 해양경찰 구조인력이 현장에 보다 빨리 도착할 수 있도록 25개 파출소를 구조거점파출소로 전환한다. 구조거점파출소에는 잠수인력 보강과 함께 신형 연안구조정 12척과 드론 8대가 추가로 배치된다.

또 전용 계류시설이 없어 출동시간이 지연됐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39곳에 전용 계류시설도 설치된다.

이와 함께 해양사고 발생 시 현장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해상상황 시뮬레이션 훈련장을 개선하고,

해양 빅데이터 종합통계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직원들의 전문성을 위해 공기부양정 승조원

전문교육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이 밖에 국가 필수 지급품인 잠수복, 특수진압복 등의 보급률이 50%에 그쳐 그동안 직원들이

개인 사비로 구매할 수밖에 없었던 관행을 개선해 직원들의 복지와 안전도 확보할 계획이다.

조현배 해경청장은 "국민이 안전하게 바다를 이용하고 해양경찰이 각종 해양에서 발생하는 사건·

사고를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예산의 뒷받침이 필수적"이라며 "2019년

예산안은 해양경찰 구조·안전의 원년 예산을 확보한다는 각오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전남 해상서 낚시선박 잇따라 사고..낚시꾼 등 26명 구조


거금대교 해상서 소형 모터보트 표류
여수 낭도 인근서 9t급 낚시어선 좌초

7일 오전 8시15분께 전남 여수시 화정면 낭도 동쪽 370m 앞 해상에서 낚시객 20명이 탄
9t급 낚시어선 Y호가 암초에 부딪혀 좌초돼 인근 어선이 낚시객을 태우고 이동하고 있다.         


주말인 7일 전남지역 해상에서 낚시객들이 탄 선박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이날 오전 10시40분게 고흥군 거금대교 아래 해상에서 4명이 탄 1t급 소형 모터보트 A호가 항해 중

선외기 스크루가 해상에 빠져 표류하고 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여수해경은 승객들을 구조정에 옮겨 태우고 A호를 안전하게 녹동항으로 예인했다.

A호 선장 황모(35)씨는 지인 3명과 함께 이날 선상낚시를 하기 위해 녹동항에서 출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이날 오전 8시15분께는 여수시 화정면 낭도 동쪽 370m 앞 해상에서 9t급 낚시어선 Y호가

간출암에 부딪혀 좌초돼 기관실이 침수중이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간출암은 저조시에만 노출되는

바위를 의미한다.Y호에는 낚시객 20명과 선원 2명 등 22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Y호 선장 박모(48)씨는 인근 선단으로 낚시객 20명을 옮겨 태웠으며, 신고를 받고 현장에 도착한

해경구조대와 경비함정은 배수펌프를 이용해 Y호 기관실에 유입된 해수를 빼냈다.

해경 관계자는 "어선이 간출암에 부딪힌 충격으로 낚시객 2명이 가벼운 허리통증과 왼쪽 무릎

찰과상을 입었으나, 큰 부상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며 "선장과 낚시객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Y 호는 이날 오전 5시37분께 여수 국동항에서 승객 20명을 태우고 출항했으며 돌산 인근

해상에서 문어낚시를 위해 이동 중 간출암에 부딪힌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 백령도서 화물선 기름 유출..해경, 방제 나서

19일 오후 4시 2분께 인천시 옹진군 백령도 용기포항에 정박한

4천600t급 화물선에서 벙커A유가 유출됐다.

이 사고로 용기포항 앞바다에 폭 4∼5m·길이 10m에 달하는 기름띠가 떠

해경이 방제 작업을 벌이고 있다.

해경은 인천과 백령도를 오가는 이 화물선이 항구에서 급유를 하던 중 기름이

넘치면서 유출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름 유출 선박  위 사진은 해당 기사와 관련 없습니다.

19일 오후 4시 2분께 인천시 옹진군 백령도 용기포항에 정박한 4천600t급

화물선에서 벙커A유가 유출됐다.

이 사고로 용기포항 앞바다에 폭 4∼5m·길이 10m에 달하는 기름띠가 떠

해경이 방제 작업을 벌이고 있다.

해경은 인천과 백령도를 오가는 이 화물선이 항구에서 급유를 하던 중 기름이

넘치면서 유출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해경 관계자는 "유출된 기름 양을 파악하고 있으나 다행히 많지는 않은

것으로 보여 현장에서 급히 방제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어통발 부표' 무더기 훼손..'금어기' 둘러싼 어민 갈등?


[앵커]

동해안에서는 문어잡이가 한창입니다. 그런데 강릉 앞바다에서 어민들이 설치한

통발의 부표가 모두 망가지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어획난까지 겹쳐 항구 분위기가 말이 아닙니다.

조승현 기자입니다.

[기자]

빠르게 달리는 어선 위에서 바다에 떠 있는 깃발을 연신 걷어 올립니다.

바닷속 문어잡이 통발의 위치를 알려주는 부표입니다.

그런데 고정돼 있지 못하고, 누군가에 의해 훼손된 채 표류하고 있습니다.

어민들이 수거해 놓은 부표 수백 개가 이렇게 항구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습니다.

가까이서 보니 부표와 통발을 연결하는 밧줄이 예리한 무언가에 의해 깨끗하게 잘려나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잘린 부표는 모두 강릉시 통발협회 소속 어민들이 설치한 것입니다.

조업을 포기한 어민들은 생계를 걱정해야 할 처지입니다.

[전용철/강릉시 연안 통발협회 회장 : 이건 같은 어민으로서 할 행동이 아니잖아요.]

통발협회 측은 금어기를 둘러싼 갈등 때문이라고 추정합니다.

동해안 문어 어획량이 줄면서 어민들은 지난해부터 3월 한 달을 금어기로 정해 운영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지역 참여가 저조하자 올해는 통발협회 측이 반대했습니다.

이 때문에 조업을 방해하기 위해 벌인 짓이라며 해경에 고발한 상태입니다.

반면 금어기를 지지하는 측은 전혀 근거 없는 모함이라며 부인하고 있습니다.

동료 어민들 사이에 반목과 의심이 오가면서 항구 분위기는 차갑게 얼어붙었습니다.


중국어선 싹쓸이 조업…동해 오징어 씨 말린다

  •       

    지난해 생산량 5년 만에 최저 
    -북한 수역서 마구잡이 조업 탓 
    -값도 ㎏당 1만1000원까지 폭등 

    중국어선들이 북한 수역에서 ‘싹쓸이 조업’을 하는 탓에 지난해

    우리나라 오징어 생산량이 5년 만에 최저치를 찍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는 10일 ‘2018 해양수산 전망과 과제’ 자료에서 지난해 연근해 및 원양산을 포함한 우리나라 전체 오징어 생산량은 전년(14만9천267t) 대비 20%가량 감소한 12만82t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5년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전체 생산량 중 국내 오징어 어획량은 8만t에 그쳤다. 전년(12만t)보다 약 33%나 급감한 것이다. 

    생산량 급감으로 오징어 가격도 급등했다. 

    지난해 오징어 산지가격은 ㎏당 평균 5천282원으로, 전년 대비 62%나 뛰었다.

    같은 기간 소비자 가격 역시 ㎏당 1만26원으로, 전년 대비 48% 올랐다.

    KMI는 하반기 들어 물량부족 심화로 가격이 한때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준인 ㎏당 1만1천 원대까지 치솟아 그야말로 ‘금(金)징어’가 됐다고 설명했다.

    오징어 어획량 급감의 원인으로는 북한 수역에서 중국 어선들의 싹쓸이 조업이 꼽힌다.

    오징어는 회유성 어종으로, 북한 수역에 살다가 6∼11월께 동해안으로 남하한다.

    하지만 이 시기 중국어선들이 북한으로부터 ‘조업권’(fishing rights)을 구매한뒤 북한 수역에 입어해 대규모 조업을 하는 탓에 남하하는 오징어 자원 자체가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KMI는 올해의 경우 오징어 어획량이 회복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말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안에 ‘조업권 거래금지’가 명문화되면서 중국어선들이 더는 북한 수역에서 오징어 등의 수산자원 싹쓸이 조업을 할 수 없게 됐다. 


    해수부 "낚시인 700만명, 낚시 부담금 내야페이스북

    김영춘 장관, '낚시문화 개선' 실행계획 검토
    낚시 이용부담금 도입, 포획량 제한, 판매금지
    "낚시 인기로 수산자원↓, 지자체·어민 불만 커"
    "내달 종합 대책 발표, 연내 낚시법 개정 추진"
    [사진=이데일리 DB]
         해양수산부가 낚시를 할 경우 낚시 이용부담금을 내도록 법 개정을 추진한다. 낚시 포획량을 제한하고 낚시로 잡은 수산물의 판매를 금지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김영춘 장관은 지난 5일 이 같은 ‘국민참여 낚시문화 개선’ 주제의 세부 실행계획을 확정했다.

    실행계획에 따르면 해수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낚시 관리 및 육성법, 수산자원관리법 개정안을 연내에 발의해 처리할 계획이다. 법이 처리되면 내년부터 지자체가 대상 낚시터, 시간당 요금 수준을 결정하게 된다. 어종에 따라 낚시를 할 수 있는 포획량이 제한된다. 이는 시행령에 반영될 예정이다. 해당 법령은 민물·바다낚시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낚시가 요새 너무 인기라서 낚시로 잡히는 수산자원 양이 상당하다”며 “지자체뿐 아니라 어민들도 불만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좋은 낚시터가 있어 낚시인 편의시설을 만들어주고 사용료를 받으려고 한다. 법적 근거를 만들어달라’는 지자체 요청들이 있다. 전국적으로 (부담금 도입에 대한) 수요가 있다”고 전했다.

    해수부 수산정책실은 다음 달에 구체적인 규제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해수부 수산자원정책과는 6일 보도 해명자료를 통해 “수산자원의 지속가능성 확보 및 낚시문화 성숙을 위해 낚시 이용권 제도 등 제도개선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채포량 제한 및 낚시 어획물의 상업적 판매 금지 등에 관해서도 아직 검토 단계”라고 밝혔다.

    해수부는 “아직 도입 확정된 내용이 아니다”며 “향후 낚시인 및 낚시어선 업계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제도개선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낚시 규제안 관련 해수부 관계자와의 질의응답을 정리한 것이다.

    -낚시 이용부담금을 어떻게 부과?

    △지자체가 정한 특정 장소에서 낚시를 하면 돈을 내야 하는 것이다. 가칭 낚시이용권 제도를 도입하려고 하는 것이다.

    -현재 이렇게 이용부담금을 받는 경우가 있나?

    △전남, 제주도 등 몇몇 일부 지자체에서 특정 장소를 정해 ‘여기서 낚시하려면 돈 내세요’라며 돈을 받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면 현재와 뭐가 달라지는 것인가?

    △지금은 지자체 조례로 그렇게 하고 있다. 법적 근거가 없다. 해수부가 낚시 관리 및 육성법을 개정해 법적 근거를 만들려고 한다. 그러면 (모든) 지자체에서 낚시 이용부담금을 받을 수 있다.

    -법이 개정되면 낚시인들이 얼마를 부담해야 하나.

    △지자체에서 정하기 나름이다.

    -전국 지자체에서 낚시 이용부담금을 부과하나.

    △‘좋은 낚시터가 있어 낚시인 편의시설을 만들어주고 사용료를 받으려고 한다. 법적 근거를 만들어달라’는 지자체 요청들이 있다. 전국적으로 수요가 있다.

    -낚시인 모두 낚시 이용부담금을 즉시 내야 하나?

    △낚시 이용부담금은 낚시어선을 이용하는 낚시인을 대상으로 우선 실시한 뒤 단계적으로 확대해 추진하기로 했다. 낚시어선을 이용하는 분들이 입·출항 신고를 해 신원 파악이 쉽다 보니 그렇게 하는 것이다.

    -채포량(포획량) 제한은 어떻게?

    △현재는 채포량 제한이 없다. 법이 개정되면 낚시로 잡는 수량을 몇 마리로 제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낚시 때문에 자원이 고갈된다는 주꾸미, 문어의 경우 1인당 몇 kg, 몇 마리로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시행령 개정안에 담길 예정이다.

    -채포량 제한도 지자체에서 요구했나?

    △지자체뿐 아니라 어민들도 불만이 많다. 낚시가 요새 너무 인기라서 낚시로 잡히는 수산자원 양이 상당하다. 관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낚시로 포획한 수산물의 상업적 판매금지 조치는 민물·바다낚시 모두 적용?

    △그것을 검토 중인데 그렇게 될 가능성이 있다. 결정된 내용은 없다.

    -어떤 법을 언제까지 바꾸게 되나?

    △낚시 이용부담금은 낚시 관리 및 육성법을 개정해야 한다. 포획량 제한과 상업적 판매 금지 조치는 낚시 관리 및 육성법이나 수산자원관리법을 개정해야 한다. 올해 연말에 개정하면 내년부터 시행할 수 있다.

    -2개 법 모두 민물·바다낚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법인가?

    △민물·해양 모두 다 적용할 수 있다. 포획 마릿수 제한은 일단 바다낚시를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다.

    -돈을 내라고 하고 규제도 강화하면 낚시인들이 반발할 듯하다.

    △반발이 좀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차라리 돈 내고 여건 좋은 곳에서 마음 편히 낚시하겠다는 분들도 많다. 정부는 낚시꾼들한테 일정 정도 돈을 받아서 수산자원 조성사업, 해양 쓰레기 수거 사업에 사용할 계획이다.

    -반발이 크지 않다는 뜻?

    △반발이 좀 있을 것이다. 반발이 없을 수가 있겠나. 과거에 낚시 면허제는 반발이 심했다. 면허를 안 받으면 낚시를 못하게 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그런 차원은 아니다. 그때처럼 반발이 강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낚시인은 700만명 추산?

    △정확하게는 조사하기 어렵다. 700만명으로 추정한다. 바다낚시인, 민물낚시인을 모두 다 포함한 수치다.

    -언제 대책 발표?


    침몰 유조선 기름 유출 제주바다 ‘긴장’


                                                                                                                                                                              
                                                                                               

    도ㆍ해수부 등 비상방제체제 가동

    제주 연안 오염 발생 가능성 낮아

    중국 동부 해상에서 화물선과 충돌한 뒤 불이 난 유조선 '상치(SANCHI)호’에 지난 10일

    소방 선박들이 접근해 소화수를 뿌리며 진화작업에 나서고 있다.

                                                                                    

    동중국해에서 침몰한 유조선 '상치(SANCHI)호’에서 유출된 기름이 제주 해안에 유입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제주도가 긴장하고 있다.

    도는 지난 15일 발생한 유조선 상치호 침몰사고와 관련해 해양수산부와 공조체제를 강화하고

    해경과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공단, 남해어업관리단, 수산물품질검사원, 수협 등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방제를 위한 비상체제를 가동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파나마 국적의 상치호(8만5,462톤)는 이란에서 콘덴세이트(휘발성 액체탄화수소) 15만3,200㎘를 싣고 출항해 한국 대산항으로 향하던 중 지난 6일 홍콩 선적 화물선과 충돌해 화재가 발생한 채 남동방향으로 표류하다가 지난 15일 서귀포 남쪽 546㎞ 해상에서 침몰했다.

    도에 따르면 해수부는 지난 19일 상치호의 연료유인 벙커C유와 적재화물인 콘덴세이트로 인한 국내 연안의 오염 발생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화물인 콘덴세이트는 휘발성이 강한 물질로, 응축된 상태에서 외부로 유출될 경우 대부분 증발하므로 해수 오염 유발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됐다.

    한국위험물검사원과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전문가들도 충돌 후 침몰하기까지 상치호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선박에 실려 있던 대부분의 콘덴세이트가 소실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상치호는 큰 폭발 없이 침몰해 연료유가 대량 유출되는 사태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연료유인 벙커C유는 유동점이 15도로 침몰해역의 수심(110m)과 낮은 수온 등을 고려할 때 굳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고, 선체 파손이나 외부 충격 등의 돌발변수가 없는 한 일시적으로 대량 유출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만 침몰 선박의 연료유창에 해수가 유입되면서 소량의 유분이 옅은 유막 형태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으나 북서풍의 영향 등으로 남동쪽으로 흘러가게 되므로 우리나라 연안에 피해를 줄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도와 해수부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공조체계를 유지하면서 계속해서 기름 유출 상황과 이동 방향 등을 모니터링하면서 실시간으로 유류 유출 확산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또한 국내 연안의 해수를 채취해 분석하거나 수산물에 대한 안전성 검사도 병행할 계획이다.

    도는 또 유조선 사고로 유출된 유류가 제주 연안 유입 및 피해 우려시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비상대책반을 구성해 1단계 감시체제 구축 및 해상과 해안방제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어 2단계 연안유입 우려시 감시활동 강화 및 해상방제활동 추진, 3단계 연안 유입시 해상 및 해안방제, 수산물 안전성 검사 실시 등 단계별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김창선 도 해양수산국장은 “유관기관과의 공조체제를 유지하면서 유출된 유류가 제주 연안으로 유입되면 단계별 대책에 따라 대응해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중국 동중국해 침몰 유조선 유출기름 확산

    중국 동부 해상에서 침몰한 이란 유조선 상치(Sanchi)호에서 유출된

    기름으로 인한 오염 면적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17일 앙시(央視)망에 따르면 중국 국가해양국은 침몰된 상치호

    주변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벌인 결과 기름 유출 면적이 14일

    10㎢에서 다음날에는 58㎢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