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아름답고 멋진영상               







































      



조선의 첫 궁궐, 경복궁의 구조 / YTN 사이언스           


21세기 서울의 중심, 경복궁!조선의 첫 궁궐, 경복궁의 구조를 알아보자.
 




서울 서대문을 아세요?

 

조선시대 한양의 서쪽 관문인 서대문

<돈의문>으로 알려진 서대문이 지금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지만,

한때는 전차도 다니는 한양의 관문 중의 하나였답니다.


서울 성곽의 4대문(四大門) 가운데 서쪽 큰 문으로 일서대문(西大門)이라고도 한다.

일제강점기인 1915년에 일제의 도시 계획에 따른 도로 확장을 핑계로 철거되어

 지금은 그 흔적조차 찾을 길이 없다. 다만 원래 자리가 경희궁터에서

 독립문 쪽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쯤에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1890년대 말쯤에 찍은 사진을 통해 대략적인 모습을 알 수 있다.

즉 견고하게 쌓은 돌축대 한 가운데에 위쪽을 반원형으로 두른 홍예문(虹霓門)을

큼지막하게 내어 도성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였다. 축대 위에는 단층 우진각지붕의

초루(譙樓)를 세우고 둘레에 낮은 담을 설치하였다.

 

건물의 평면 규모나 구조상의 특징은 알 수 없다. 다만 지붕 위에 마루를 양성하고

취두(鷲頭 : 망새)·용두(龍頭)·잡상(雜像)·선인 등을 배열했음을 알 수 있을 뿐이다.

처음 세워진 것은 1396년(태조 5)으로 도성(都城)의 제2차 공사가 끝나고 8문(門)이

완성되었던 때이다.

 

태조 때인 1413년에 폐쇄되어 사용되지 않고 대신 태종 때에 서전문(西箭門)을

새로 지어 도성의 출입문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세종 때 다시 서전문을 헐고

그 남쪽 마루에 새 성문을 쌓고 돈의문이라 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분명하게 알 수 없으나,

 1711년(숙종 37) 9월에 고쳐 지으라는 왕명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숙종 때 고쳐 지어졌던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서울 서북쪽의 관문(關門)으로

 사용된 중요한 사적인데, 일본인들에 의해 함부로 철거된 것은 애석한 일이다.

 


-가져온 자료-


예쁜라인 아이콘

               


 



 



 



 



 



 



 



 



 



 



 



 



 



 



 




코뿔소의 위엄 영상                              


평상시 우리가 생각하고 보고 있는 랭킹 2위 코뿔소의 이미지


 



삼팔선의 봄 ♬ / 현철               

 




'감동과사랑의나눔방 > 신비한,예쁜샷' 카테고리의 다른 글

精彩煤 좋은풍경   (0) 2017.12.21
아름답고 멋진풍경  (0) 2017.12.18
신비스런자연현상  (0) 2017.12.11
환상적인 시원스런 해변  (0) 2017.12.07
세계의 진풍경   (0) 2017.12.02

여의도 순복음교회 2017성탄추리

















사진속 6·25 참상` 국제적십자위 희귀사진 대거공개

                 

[단독] '사진속 6·25 참상' 국제적십자위 희귀사진 대거공개

울상 짓는 꼬마·중공군 치료하는 미군·이승만·개폐식 영도다리 등 담겨
베이징 소재 국제적십자위원회 동아시아대표처 소장 사진


(베이징=연합뉴스) 홍제성 김덕현 특파원

6·25전쟁(한국전쟁) 발발 65주년을 앞두고 전쟁의 참상과 아픔을 고스란히 담은 희귀 사진들이 대거 공개됐다.

연합뉴스가 23일 중국 베이징(北京) 소재 국제적십자위원회(ICRC) 동아시아대표처를 통해 입수한 사진들에는 서울, 부산, 대구, 거제도, 평양, 판문점 등 전쟁의 비극을 겪은 한반도 곳곳의 모습이 담겨 있다.

우선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누더기 옷을 걸친 채 울상을 짓는 꼬마의 사진이다.

다섯 살도 채 안 돼 보이는 이 꼬마는 자기 몸보다 더 큰 봇짐을 진 채 울음을 터뜨리기 직전의 표정을 짓고 있다.

1951년 2월 홍천에서 촬영된 이 사진은 전쟁의 비극이 이렇게 어린 아이에게까지 엄청난 고통을 주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1950년 12월 대구에서 찍은 몇 장의 사진 속에는 기차 위에 어떻게든 올라타려고 안간힘을 쓰는 피란민들의 고통스러운 모습과 '산을 넘고 물을 건너서라도' 살아보겠다는 우리네 소시민의 모습이 담겨 있다.

부산과 거제도 등에 설치돼 있던 포로수용소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사진들도 공개됐다.

수용공간이 부족해 임시 천막을 대거 지어놓은 포로수용소의 전경과 이곳에서 주먹밥을 배급받는 포로들의 모습도 카메라에 담겼다.

포로수용소에서는 무거운 분위기 속에서도 장기자랑을 하고 권투·씨름 경기가 벌어지는 등 수용자들도 짬을 내 여가를 즐기기도 했다.

평양과 원산 등 북녘땅에서 촬영된 희귀 사진도 상당수 공개됐다.

인천상륙작전 이후 평양까지 진격한 유엔군과 국군이 운영하던 여성 포로수용소에서 대기하고 있던 여성들의 모습, 북한 측 포로들이 무릎을 꿇은 채 심문을 받는 장면 등도 확인할 수 있다.

1950년 11월 원산에서 붙잡힌 북한군과 중공군 포로들이 이송되기 전의 순간도 카메라에 포착됐다.

'전쟁의 포화' 속에서도 미군 병사가 부상당한 중공군 병사에게 응급처치를 해주고 수용소에서 중공군 포로에게 담배를 나눠주는 등 인도주의적인 모습도 엿볼 수 있었다.

이승만 초대 대통령을 비롯한 당시 주요 인사들의 모습도 카메라에 담겼다.

이 전 대통령은 1950년 8월 훗날 국무총리와 외무부 장관을 지낸 변영태 당시 고려대 교수, 적십자사 단원 등과 기념촬영을 했고 1952년에는 한복 차림의 부인 프란체스카 여사와 함께 파주 '자유의 마을'도 방문했다.

이기붕 당시 서울시장이 1950년 11월 미군 지휘관들과 함께 찍은 사진도 있었다.

역사적 현장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사진들도 적지 않았다.

정전협상이 열리고 있던 판문점, 서울의 옛 중앙청, 유일한 개폐식 다리였던 부산 영도다리, 유엔군 전사 장병을 안장한 부산의 유엔군 묘지(현 유엔기념공원) 등의 60여년 전 모습도 렌즈에 담겼다.

이밖에 공개된 사진 중에는 전쟁의 비극 속에서도 천진난만한 동심을 엿볼 수 있는 자료들도 있었다.

군종 목사에게 안겨 이야기를 재미있게 듣는 여자 어린이, 탱크에 올라 즐거워하고 있는 동네 아이들, 구호품으로 나온 옷을 받고 좋아하는 여자어린이 등의 표정도 엿볼 수 있다.

앞서 ICRC 동아시아대표처는 한국전쟁 발발 60주년이던 2010년 6월에도 연합뉴스를 통해 전쟁 당시 촬영한 희귀사진 8장을 공개한 데 이어 이번에 사진들을 추가로 대거 공개했다.

대표처 관계자는 "이 사진들은 한국전쟁 당시 한반도 곳곳에서 구호활동을 하던 적십자 직원들과 참전 미군들이 전쟁의 참상과 그 속에서 살아가던 사람들의 모습을 담은 것"이라면서 "자료 차원에서 보관해 오다 한국전쟁 발발 65주년을 맞아 연합뉴스를 통해 공개했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