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의 한방효능                   

       

                         

       


▶ 산후부종 및 모유부족, 자양강장, 피로회복, 생활습관병, 항암, 화상, 위통, 변비, 미용에 효험

호박은 열대 및 남아메리카 원산으로 알려진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원산지에 대해서 서양계 호박 및 폐포(pepo)계 호박은 아메리카 대륙이고 동양계 호박은 동남아시아열대지역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동양계 호박도 그 원산지가 아메리카라는 설이 확실시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언제부터 재배되었는지 알 수 없고 조선시대 문헌에 비로소 나타나고 있을 뿐이다.  품종은 동양계로서 , 아이즈, 서울 애호박이 있고 서양계로서는 터번, 하버드, 방향청피감율, 화초호박, 버터넛, 터번, 흑피율, 백피율, 적피율, 델리셔스 등이 있다.  폐포계로서는 금감로, 골덴, 장난감호박, 꽃즈키니, 즈키니 호박이 있으며 사료용 호박은 서양계로서 큰 것은 무게가 30~40킬로그램까지 나간다.  종간 잡종 호박은 신토좌, 회율, 평화친선등의 품종이 있다.  서양계 호박은 줄기가 단변이 둥글고 동양계와 폐포계는 5각형을 나타낸다.

덩굴의 단면은 오각형으로 털이 있으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면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고, 심장 모양이며 얕게 5갈래로 갈라진다.  6월부터 크고 노란 꽃이 피는데, 수꽃은 자루가 길고 암꽃은 자루가 짧으며 열매를 맺는다.  품종에 따라 열매의 크기, 모양, 색등이 모두 다르다.  개량된 품종에는 덩굴성이 아닌 것도 있다.  

호박의 식물명과 영어명
식용으로 이용되는 4종류의 호박은 우리호박(Cucurbita moschata), 서양호박(c. maxima), 폐포호박(C. pepo), 믹스타(C.mixta)로, 이는 식물분류학상의 이름이다.  호박 속의 이들 4종을 상호 교배해도 종자는 생기기 어렵다.  그러나 야채로서의 성질, 재배방법, 조리방법 등이 유사하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이들 호박을 하나의 종으로 취급했다.

영국 및 미국에서는 호박의 호칭이 많다.  pumpkin, summer squash, winter squash, marrow, cushsw 등인데, 주로 이용상의 호칭으로, 식물 명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하나의 설로서 다음과 같은 구분 방법이 있다.  pumpkin이라는 것은 익은 것을 이용해서 조리하고, 파이로 사용하거나 사료로 이용하는 것, summer squash는 미숙과로 굽거나 피클에 사용하는 경우의 호칭, winter squash는 pumpkin과 마찬가지로 익은 것을 사용해서 조리하는 것, marrow는 익은 것으로 굽거나 스튜로 하는(영국) 경우, cushaw는 익은 것을 굽거나 사료로 사용할 때에 사용한다.  그 외에 성숙한 호박을 이용할 때는 pumpkin, 미숙한 호박을 이용할 때는 squash로 한다는 설도 있다.

성분의 특징
호박은 칼로리가 높고, 카로틴을 다량으로 함유하며, 비타민이 풍부하고 또한 저장성이 높고, 겨울철에 먹는 습관은 야채가 적은 겨울 시기의 영양보급이라는 의미가 있다.  

호박 100그램당 식품 영양성분은 다음과 같다.  

수분 78.5그램, 단백질 1.7그램, 지질 0.2그램, 탄수화물 중 당질 17.5그램, 섬유질 1.2그램, 회분 즉 무기질중에는 칼륨 370밀리그램, 나트륨 1밀리그램, 철 0.6밀리그램, 인 37밀리그램, 칼슘 24밀리그램, 미량성분 중에 비타민 A 470 IU, 비타민 E 4.6밀리그램, 비타민 B1 0.10밀리그램, 비타민 B2 0.08밀리그램, 나이아신 0.7밀리그램, 비타민 C 39밀리그램이 들어 있다.        

호박의 다른 이름은 남과(南瓜: 전남본초), 왜과(倭瓜: 식물명회), 북과(北瓜, 금동과:金冬瓜, 동과:冬瓜: 광주식물지), 복과(伏瓜: 민간상용초약회편), 금과(金瓜: 육천본초), 반과(飯瓜, 노면과:老緬瓜, 와과:窩瓜: 중국약식도감), 번포(番蒲: 강서 초약수책), 번과(番瓜: 본초구원), 번남과(番南瓜: 군방보) 등으로 부른다.

호박의 뿌리(남과근:南瓜根:남녁남,오이과,뿌리근), 줄기(남과등:南瓜藤:남녁남,오이과,덩굴등), 줄기의 덩굴손(남과수:南瓜鬚:남녁남,오이과,수염수), 잎(남과엽:南瓜葉:남녁남,오이과,잎엽), 꽃(남과화:南瓜花:남녁남,오이과,꽃화), 열매 꼭지(남과체:南瓜?:남녁남,오이과,꼭지체), 열매속(남과양:南瓜?:남녁남,오이과,박속양), 씨(남과자:南瓜子:남녁남,오이과,아들자), 열매 속에서 싹이 튼 씨(반장초:盤腸草:소반반,창자장,풀초)도 약용으로 쓴다.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호박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호박(Cucurbita moschata Duchartre)

다른 이름: 남과, 번남과

식물: 덩굴뻗는 한해살이풀이다.  잎은 5개로 얕게 갈라진 둥근 심장 모양이고 뒷면에 흰 점이 있다.  여름철에 꽃잎이 5개로 갈라진 노란 꽃이 핀다.  열매가 크고 납작하며 세로홈이 있는 것(melonaeformis Makino)과 길 게 생긴 것(var. toones Makino)이 있다.  열매 꼭지는 5각형이다.
씨로 번식하며 각지에서 채소로 심는다.
씨(남과인): 익은 씨를 모아 햇볕에 말린다.

성분: 씨에는 아미노산인 쿠쿠르비틴(녹는점 섭씨 268도)이 약 0.5퍼센트 들어 있다.  쿠쿠르비틴은 납작한 호박씨(var. melonaeformis,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에만 있고 길 게 생긴 것에는 없다는 자료가 있는데 주로 씨의 속껍질에 많다.  이밖에 산성, 중성, 염기성 아미노산(특히 리진)이 많다.

씨에는 비타민 B, C, E와 효소인 우레아제가 있고 기름이 약 34퍼센트 있다.  기름의 주성분은 리놀산, 올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의 글리세리드이다.  비타민 E는 밀배아기름의 4배나 많고 Y-오리자놀이 있다.  열맷살에는 노란색 카로틴, 아데닌, 아스파라긴, 트리고넬린과 혈당낮춤물질, 피토스테롤이 있다.  

작용: 씨는 촌충에 대하여 범고비뿌리줄기(면마)와 비슷한 작용이 있으며 그보다 독성은 적고 효과도 약하다.  씨유제는 24시간 만에 촌충을 죽인다.  씨기름을 정제하면 구충 효과가 없어진다.  유효성분은 에테르, 아세톤에 풀리고 95퍼센트 알코올에도 조금 풀린다.  씨에는 약 6.1퍼센트 들어 있다.

요즘에 쿠쿠르비틴을 호박씨의 구충성분으로 보고 있으나 이 밖의 다른 성분도 구충작용이 있다고 생각된다.  열맷살은 이뇨작용이 있으며 염화나트륨의 배설을 빠르게 한다.  약한 설사 작용도 있다.  열맷살을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피부가 누른색을 띤다.  이것은 카로티노이드가 땀으로 배설되어 피부각질층의 기름을 물들이기 때문에 생긴다.  그러나 누른색은 곧 없어지며 건강에 해로운 것은 아니다.

응용: 촌충떼기약으로 쓴다.  때로는 회충떼기약으로도 쓴다.  구충 효과는 적지만 독성과 부작용이 없어 임신부, 어린이들에게도 쓸 수 있으므로 지금도 널리 쓰고 있다.  열맷살은(과육)은 오줌내기약으로 콩팥염, 간질병에 쓰고, 약한 설사약으로 변비에 쓴다.  오줌 속으로 염산염이 많이 나오게 한다

하루 500그램까지 즙을 짜가나 죽을 만들어서 먹기도 한다.  카로티노이드가 많은 품종은 프로비타민 A의 원료로 쓴다.

호박씨유제: 마른씨가루에 적은 양의 물을 넣고 잘 섞어서 유제로 만든다.  어른은 60~80그램, 어린이는 30~40그램을 15~20분 동안에 먹는다.  2시간 지나서 염류설사약을 먹는다.  이때 주의할 것은 씨의 굳은 겉껍질은 벗겨내고 속껍질(푸른색)가 속씨만을 써야 한다.  특별한 부작용은 없으며 2~3일씩 사이 두고 여러 번 쓸 수 있다.

호박씨와 함께 범고비 뿌리 줄기 엑스를 쓰면 구충 효과가 높다.  이 때에는 범고비 뿌리 줄기 엑스를 적은 양(2.5~3그램)써도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