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동과사랑의나눔방 > 그때 그시절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기힘든 귀한 사진자료  (0) 2019.04.08
1953년 독도 상항  (0) 2019.03.08
처음 공개되는 귀중한 자료   (0) 2018.10.02
그때 그시절 추억의 사진 -  (0) 2018.09.27
귀한 자료 사진  (0) 2018.09.21

처음 공개되는 귀중한 자료              

//

처음 공개되는 귀중한 자료

 

 

▲1950. 12. 14. 서울역, 남행 피난민들이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1950. 12. 16. 흥남,
국군과 유엔군들이 후퇴하고자

부두에서 수송선을 기다리고 있다.

▲1950. 12. 27. 흥남,

얕은 수심으로 수송선이 해안에 닿을 수 없자

유엔군들이 바다에 뛰어들어

 LST로 가고 있다.

 

▲1950. 12. 24.

흥남, 유엔군들이

철수 후 부두를 폭파시키고 있다.

 

 

▲1950. 12. 19.

묵호. 흥남에서 철수한 장비를


묵호(동해)항에 내리고 있다.
 
▲1950. 12. 28.

서울, 피난민들이 강추위 속에


한강 얼음을 깨트리며 나룻배로

남하하고 있다.

 
▲1951. 1. 5. 피난 행렬 속의 소년과 소녀.
소달구지가 힘겨워하자 힘을 보태고 있다.
▲1950. 10. 11.

서울 교외, 부서진 북한군 전차 위에서


아이들이 놀고 있다.
 
▲1950. 11. 1.

전란으로 폐허가 된

 서울.

 

 

▲1950. 12. 28.

끊어진 한강 철교.

오른쪽은 임시로 만든

부교.

 

▲1951. 1. 3.

한강 철교 부근의 언 강을 피난민들이


걸어서 건너고 있다.
 
▲1951. 3. 16. 서울 중구의 수도극장(현 스카라 극장) 일대.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중앙청 광화문 세종로

일대.

 

 

▲1951. 3. 16.

비행기에서 내려다 본 왕십리 일대.


멀리 고려대학교 건물이

 보인다.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서울역

일대.

 

 

▲1951. 3. 16.

하늘에서 내려다 본

 중앙청, 경복궁, 수송동,


팔판동 일대.

 

 

▲1951. 3. 19.

구호 양곡을 먼저 탄 소년과


양곡을 타기 위해 줄을 선 주민들.
 
▲ 1950. 10. 12. 원산. 학살된 시신들.
▲1950. 12. 11. 고단한 피난길.

 

▲1950. 12. 16.

폭격에 엿가락처럼 휘어진

철교.

 

 

▲1950. 12. 17.

보급품을 실은 화물 열차가

 폭격에 불타고 있다.

 

 

▲1950. 12. 18. 대구.
훈련소에서 교육을 마친 신병들이 전선으로 가고자
대구역전 광장에 집결해 있다.

 

 

 

▲ 1950. 12. 18.

전방으로 떠나는 신병들.

 

 

▲1950. 12. 18. 대구역.

“총알을 요리조리 잘 피해서 어예든동


살아 오이라.”


“어무이 걱정 꽉 붙들어 매이소.

 어무이 아들 아잉기요.
내는 꼭 살아 돌아올 깁니다.”

 

 

▲1950. 12. 21. 경북 왜관. 낙동강 철교 어귀에 부서진
북한군 소련제 탱크.

 

▲1951. 1. 20.

아버지와 아들의 피난길.


다른 가족은 전란에 모두 죽었다.

 

 

▲1950. 6. 18. 6.25

한국전쟁 발발 일주일 전


의정부 북방 38 접경에서
미 국무장관 덜레스 (가운데) 일행이

 38선 너머
북쪽을 살피고 있다.  

(덜레스 오른쪽 신성모 국방장관).

 

 

 

▲1950. 6. 18.

미 국무장관 덜레스 일행이


38 접경 지대를 살피고 있다.

 

 

▲1950. 7.

한미 수뇌부들이 환담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병옥 내무장관, 신성모 국방장관,

무초 주한 미대사,
임병직 외무장관, 워커 주한 미군 사령관).

 

 

▲ 1950. 7. 26. 맥아더 장군이 전선을 시찰하는 중,
종군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 워커 장군.

 

 

▲ 1950. 8. 15.

이승만 대통령과 신성모 국방장관이


8.15 경축식을 끝낸 후


임시 국회의사당인 문화극장을 떠나고 있다.  

신 국방장관은

 “아침은 서울에서 먹고, 점심은 평양에서---“ 라고

상대의 전력도
모른 채 큰 소리쳤으나

 

 6.25 발발 후 서울시민은 팽개치고
몰래 서울을 빠져나갔다.

 

 

▲ 1950. 8. 18.

백선엽 장군(가운데)이 미군과 함께


작전을 세우고 있다.

 

 

▲ 1950. 9. 16.

 구포 신병 훈련소에서 훈시하는

이승만 대통령.

 

 

 

▲ 1951. 2. 7.

  전선을 시찰하는

 맥아더 장군.

 

 

▲ 1951. 2. 15.

대한민국 해상 이동방송선(HLKT)을

 방문한


장면 총리 일행.

 

▲ 1951. 9.

콜트 미 8군 부사령관의 이임식장.


(왼쪽부터 허정, 콜트, 무초 주한 미대사)

 

 

▲ 1950. 10. 22.

평양, 북한 주민의 학살 현장.


누가 그들을 죽였을까?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11. 2.

거리에 버려진 아이들이 트럭에 실려


고아원으로 가고 있다.


눈망울이

 초롱초롱한 아이는 그 후 어떻게 되었을까?

 

 

▲ 1950. 11. 11.

바지 저고리들의 포로들.


총이나 한 번 제대로 잡아보고 포로가 되었는지?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11. 13. 함흥 덕산광산.
482명을 생매장한 갱도에서 시신을 꺼내 늘어놓은 것을
한 아버지가 아들을 찾고 있다.
“제발 내 아들이 아니기를...”

 

 

▲ 1950. 11. 13.

지아비가 생매장된 갱도 어귀에서


오열하는 지어미.

“날라는 어찌 살라 하고 가시리잇고”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12.

북한군 포로.

 

 

▲ 1950. 8. 10.

폭격으로 불타는

마을.

 

 

▲ 1950. 8. 10. 핫바지들을 인솔하는 미 해병대.

 

▲ 1950. 7. 29.

경북 영덕, 포화에 쫓기는

피난민.

 

 

▲ 1950. 7. 29. 경북 영덕.
남자는 등에 지고 여자는 머리에 이고 지향없이
떠나는 피난민

행렬.

 

▲ 1950. 7. 29.

경북 영덕,


논두렁에 머리를 처박고 죽은

북한군 병사.

 

 

▲ 1950. 7. 29.

“뜨거운 전우애”


한 병사가

 부상당한 전우를 업어가고 있다.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7. 29.

마을 소년들이 주먹밥을 만들어


군인들에게 나눠주고 있다.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7. 29.

야간전투후 주간 취침.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7. 29.

 취침 후 병기 손질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4.

피난민들의 보금자리 산동네

 판자촌.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8.

누가 이 아이를 버리게 했을까?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8.

다리 아래 피난민 움막.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 1950. 8. 9.

임시 포로수용소.

 

ⓒ2004 미국 문서기록보관청.

 


여기 실린 사진은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NARA(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5층
사진자료실에 보관된
”KOREA WAR(한국전쟁)” 파일의 새로운
공개되지 않은 사진들입니다.


날짜와 장소는

사진 뒷면에 있는 영어 원문을 따랐고,
사진 설명은 원문을
참조하여 필자가 다듬었습니다.

 
이 사진이

기록물이 부족한 우리 조국에

남기를 바랍니다.


생사가 교차되는 전선에서

귀한 사진을 남긴

 카메라맨들에게 >경의를 드립니다.



그때 그시절 추억의 사진 -

▲ 서울 거리 1966년대



 

▲남한산성  1966년대



 

▲ 서울 시청 1966



 

▲판자촌 서울 1966



 

▲서울역 1966



 

▲남대문 시장근처 1966



 

▲서울역앞 1966



 

▲1966년대



 

▲화성 / 수원 1966



 

▲화성 1966 년



 

▲1966년대



 

▲서울 1966 년



 

▲1966년대



 

▲1966년대



 

▲서울 시청 1966



 

▲수원 1966



 

▲1966년대



 

▲서울 1966 년



 

▲수원 / 화성1966년대



 

▲미국 대사관, 서울 1966



 

▲화성 1966



 

▲한강 다리 1966



 

▲한강 1966



 



 

▲남대문 시장 1966



 

▲남대문 시장 1966



 

▲1966년대

귀한 자료 사진



첫 근대 올림픽이 열렸던 아테네 경기장. 1896년. 
   

 


사진의 제1차적인 사명은 시간의 기록입니다.

이제는 되돌릴 수 없는 역사의 한 페이지 속으로 사라진 
사건과 인물들의 기록을 소개하는 시간입니다.





지브랄타 (Gibraltar)의 공습 훈련 서치라이트. 1942년.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E=MC² 공식을 칠판으로 처음 공개한 유일한 사진.





 


세계 최초의 컬러 사진. 1861년.








이란에서는 19세기 중반에서 후반까지도 대포 사형이 시행되었다.






Fat Man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 폭탄)이 

Tinian Island 에서 조립된 후 이동되고 있다.





일본 히로시마에 원폭 투하 후 찍은 항공사진. 1945년.






베트남 전선에 투하된 네이팜 탄. 1963년.






MGM Lion 에게 연기 지도 중인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






Little Italy라고 불렸던 뉴욕의 Mulberry Street. 1900년경.






뉴욕 항을 방문한 세계 최초 핵잠수함 USS Nautilus. 1956년.






양키스 스타디움에서 베이브 루스와 악수를 하고 있는 

Warren G. Harding 대통령. 1923년 4월.






마추픽추 발견 후 찍은 첫 번째 사진. 1912년.







Cape Canaveral 공군기지의 발사대. 1960년 이전.







미국 병사들이 찾아낸 마네의 In the Conservatory 그림. 1945년.

독일 salt mines of Merker에 숨겨져 있었다.






미 해군 비행선 Macon을 만드는 공장 내부. 1932년.







네바다에 새로 건설된 대륙 횡단 열차를 보고 있는 미국 원주민. 1868년 추정.







맥도날드 햄버거의 원조 캐릭터인 Ronald clown. 1963년.







미국 레이건 대통령 암살 시도 당시의 현장 모습. 1980년 3월 30일.







캘리포니아에서 벌목꾼들이 1000년도 넘은 Redwood를 자르고 있다.







타이타닉 호의 승선권. 1912년 4월 10일.







건조 중인 타이타닉 호의 프로펠러. 1912년.







항해 중인 타이타닉 호의 마지막 사진. 1912년 4월.







네덜란드의 Heemskerk 해수욕장에서 풍기문란죄로 단속중인 경찰. 1931년.








미국 군함 Missouri 선상에서 일본의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있는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 1945년.






히틀러가 초대형 railway gun 인 ‘Schwerer Gustav’의 시험 발사를 보고 있다.







영국의 고고학자 Howard Carter가 투탕카멘의 무덤을 발굴하고 있다.







일본의 사무라이. 1860-1880년 사이.







디즈니 스튜디오를 오픈한 월트 디즈니와 Roy O.
디즈니. 오른쪽 여자는 어머니


1953년 독도 상항                             

            

1953년 10월15일 독도의 동도에 상륙해 일본인들이 박아놓은 말뚝을 뽑아내는 한국산악회 회원들.
일본 시마네(島根)현 의회가 시마네현의 고지(告知)로 독도를 일본 영토에 편입시킨 (1905년)
2월22일을 ‘다케시마(竹島)의 날’로 정한다는 조례를 3월19일 통과시키겠다고 공언한 데
이어, 2월23일에는 다카노 도시유키(高野紀元) 주한 일본대사가 외신과의 회견에서
 “독도는 일본 땅”이라고 주장해 우리 국민의 분노를 샀다.
 
이런 가운데 6·25전쟁(1950) 직후 한국 사회가 독도를 지켜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을
보여주는 진귀한 사진이 다량 발견되었다.
이 사진은 1953년 10월15일과 16일에 김한용(金漢鏞·81)씨가 한국산악회의 울릉도·독도
학술조사단과 함께 해군 905정을 타고 독도에 들어가 찍은 것. 김씨는 오랫동안 광고사진
작가로 활동해왔고 최근까지 중앙일보 문화센터에서 사진 기술을 강의해온 원로다.
독도 탐사 직후 발간된 당시의 한국산악회 회보에는 김씨가 찍은 사진이 몇 장 실렸고,
이를 복사한 사진이 지금까지 유통돼 왔다.
그러나 김씨가 갖고 있던 원판 사진은 단 한 번도 공개된 바 없다. 김씨는 지난해 3월26일부터
4월4일까지 조선일보 미술관에서 80세 기념 작품전을 열며 이 원판 사진을 공개했으나,
어떤 언론도 이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다 주간동아와 접촉해 이를 최초로 공개했다. 김씨 사진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부분은 한자로
‘島根縣 隱地郡 五箇村 竹島(시마네켄 오치군 고카무라 다케시마)’라고 쓰인 2m가 넘어 보이는
나무 말뚝을 한국산악회 회원들이 뽑아내는 장면(사진 맨 위). 기록에 따르면 이 나무 말뚝은
 6·25전쟁 발발 2년째인 1952년 6월25일 미국 성조기를 단 일본의 수산시험선을 타고
독도에 상륙한 9명이 박았다고 한다(김씨는 “이 말뚝이 나무로 제작돼 있었다”고 증언했다.
오치군은 69년 지금의 오키군 隱岐郡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전면에 ‘독도’ ‘獨島’‘LIANCOURT(리앙쿠르)’를 새긴 표석을 설치하는 홍종인 한국산악회 회장. 홍 회장은 ‘이 표석은 넓이가 두 자가량, 높이는 자가웃, 부피는 한 자 조금 못 된다’는 기록을 남겨 놓았다(한 자는 약 30.3cm이다) 한국산악회는 이 말뚝을 뽑아낸 다음 위에는 한글과 한자로 ‘독도와 獨島’를, 아래에는 국제 해도에서 독도를 지칭하는 LIANCOURT(리앙쿠르)란 프랑스어를 파넣은 화강석을 설치했다.
그러나 이 표석은 1년 전인 52년에 설치하려다 못한 것이라 뒷면에는 1952년 8월15일을 뜻하는 영문이 새겨져 있었다. 대신 한국산악회는 표석 옆면에 표석을 실제 세운 날인 53년 10월15일을 추가로 새겨넣었다.

 
 
 
이 표석은 1년 전인 52년 8월15일 설치하려고 준비했던 것이라 뒷면에는 ‘15th AUG 1952’(1952년 8월15일)이 새겨져 있었다. 당시 김씨는 ‘국제보도’란 이름의 월간지 사진기자로 활동하고 있었다.
그런데 국제보도사 사장인 송정훈씨가 한국산악회 회장이었던 홍종인(1903~98)씨와 막역한 사이였다. 때문에 송 사장은 한국산악회가 행사를 열 때마다 김씨를 보내 사진을 찍게 했는데, 이것이 인연이 돼 김씨는 한국산악회의 울릉도 독도 학술조사에 참여한 유일한 사진기자가 되었다.

 
 
 
표석을 설치한 뒤 독도에 상륙한 16명의 대원이 모여 기념사진을 찍었다. 맨 앞줄의 모자를 쓰고 사진기를 멘 이가 김한용씨. 한국산악회는 조선산악회란 이름을 쓸 때부터 독도 영유권 문제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미군정 시절인 47년 8월, 홍 회장을 중심으로 한 조선산악회 대원들은 미군정 한국과도정부 소속의 울릉도·독도 조사대의 신석호, 이봉수씨와 함께 해군의 전신인 조선해안경비대의 ‘대전환(大田丸·당시는 일본식이 짙게 남아 있어 함정을 환이라 했다.
지금 표현으로는 대전정이나 대전함이 된다)’을 타고 독도에 들어가 조사를 하고, 조선산악회와 과도정부 조사대 명의로 푯말을 세웠다(1차 조사).

 
산악회 조사대는 측지반, 기록반, 보도반 등으로 구성돼 있었다. 측지반이 동도 정상으로 올라가며 측량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이 6·25전쟁 중이던 52년 5월28일, 일본 시마네현 어업시험장 소속의 시험선 ‘시마네마루(島根丸)’가 독도 주변의 우리 영해를 침범하는 일이 있었고, 한 달 뒤인 6월25일에는 미국 성조기를 단 일본 수산시험선이 독도에 정박해 9명을 상륙시켜 문제의 나무 말뚝을 박았다
(이것이 공식적으로는 광복 이후 일본인이 독도에 상륙한 최초이자 최후의 사건이다).
 
기록에 따르면, 독도에 들어온 일본인들이 51년 6월, 경상북도 지사가 48년 6월8일 일어난 미군기의 독도 폭격으로 희생된 어민 14명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설치한 ‘독도어민조난자위령비’를 때려 부쉈다고 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일을 이용해 하강하는 산악회원. 한국산악회는 이 위령비 가까운 곳에 독도와 LIANCOURT란 문자를 새긴 화강석을 세웠다고 분명히 밝혔고, 김씨가 찍은 사진에서도 이 위령비가 서 있는 것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47년 조선산악회가 세웠다는 푯말이 이때 존재하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었다.
 따라서 일본인들이 철거한 것은 47년 조선산악회와 과도정부 조사대가 세운 푯말일 가능성이 높다. 일본인들이 독도에 상륙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전쟁 중임에도 한국 사회는 크게 들끓었다.
그리하여 한국산악회가 광복절인 8월15일 독도에 들어가 다시 조사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화강석으로 된 표석을 준비해 울릉도까지 갔다. 그런데 마침 독도 인근에서 미군기들이 폭격 연습을 하고 있어 독도 상륙을 포기하고 울릉경찰서에 표석을 맡겨놓고 돌아왔다(실패한 2차 조사).

 
 
 
한국산악회는 독도의 동도로 상륙해 해변에 텐트를 치고 하루 야영을 했다. 그리고 1년 2개월 뒤인 53년 10월11일, 부산에서 해군의 905정(정장 서덕균 대위)을 타고 출항해 울릉도를 거쳐 독도에 상륙하였다(3차 조사). 10월13일 이 조사대는 독도에 접안하는 데 성공했으나 악천후 때문에 바로 철수했다(그리고 15일 다시 도전해 상륙에 성공한 것이다).

 
산악회원들은 서덕균 대위가 지휘하는 해군의 905정을 타고 독도에 들어갔다. 조사대가 접안만 하고 돌아선 13일, 905정 근처로 레이더 장비까지 갖춘 ‘나가라(250t)’라는 이름의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이 나타났다.
나가라는 ‘겁도 없이’ 52년 1월18일 이승만 대통령이 선포한 평화선을 침범한 것이다. 이에 905정장 서 대위가 ‘총원 전투 배치’ 명령을 내리고 “평화선 밖으로 나가라”는 신호를 보내자 나가라는 뱃머리를 돌려 동남쪽으로 빠져나갔다.
 다음날 조사대는 일본 라디오 방송을 통해 “나가라에는 독도 조사에 나선 한국 측과 해상회담을 하기 위해 일본 중의원이 타고 있었다.
 그런데 한국 군함이 평화선 밖으로 나가라고 위협하고 날씨마저 매우 나빠 나가라는 뱃머리를 돌렸다”고 보도하는 것을 들었다. 그런데 세 시간 후 이 방송이 “한국 군함이 평화선 밖으로 나가라고 하기에 우리는 평화선을 인정치 않는다며 한국 측 요구를 거부했다”고 전혀 다른 내용을 보도하는 것을 듣고 실소를 금치 못했다고 한다.

 
 
 
독도에 모닥불을 피워놓고 야영을 하는 산악회원. 15일 독도에 상륙한 조사대는 텐트를 친 후 야영에 들어갔는데 이때 물오리 한 마리가 제 발로 야영지로 들어와 생경한 풍경 속에 젖어 있던 조사대를 기쁘게 했다.
이날 조사대는 무전기를 통해 905정과 교신을 했다. 조사대 인원 중 유일의 언론인이었던 홍 회장은 “15일 우리 라디오 방송은 부산에서 10여만명의 어민이 모여 해양주권선(평화선)을 지키자는 대회를 연 것을 생중계했는데, 이 방송을 잡은 905정은 무전기를 통해 독도에 있는 우리에게 다시 생중계 해주었다”는 기록을 남겨놓았다
 


옛날 옛적의 귀한 이미지 자료


 


 


'감동과사랑의나눔방 > 그때 그시절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한 자료 사진  (0) 2018.09.21
1953년 독도 상항   (0) 2018.08.31
고창 품바대회 영상  (0) 2018.07.11
6.25 영원히 지울수 없는 그 이미지들   (0) 2018.05.08
정말 귀한 자료 사진  (0) 2018.04.22

고창 품바대회 영상             


 

 

 
 

 



                     

 

 

6.25 영원히 지울수 없는 그 이미지들

 

정말 귀한 자료 사진




첫 근대 올림픽이 열렸던 아테네 경기장. 1896년.

 


사진의 제1차적인 사명은 시간의 기록입니다.

이제는 되돌릴 수 없는 역사의 한 페이지 속으로 사라진
사건과 인물들의 기록을 소개하는 시간입니다.





지브랄타 (Gibraltar)의 공습 훈련 서치라이트. 1942년.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E=MC² 공식을 칠판으로 처음 공개한 유일한 사진.








세계 최초의 컬러 사진. 1861년.








이란에서는 19세기 중반에서 후반까지도 대포 사형이 시행되었다.






Fat Man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 폭탄)이

Tinian Island 에서 조립된 후 이동되고 있다.





일본 히로시마에 원폭 투하 후 찍은 항공사진. 1945년.






베트남 전선에 투하된 네이팜 탄. 1963년.






MGM Lion 에게 연기 지도 중인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






Little Italy라고 불렸던 뉴욕의 Mulberry Street. 1900년경.






뉴욕 항을 방문한 세계 최초 핵잠수함 USS Nautilus. 1956년.






양키스 스타디움에서 베이브 루스와 악수를 하고 있는

Warren G. Harding 대통령. 1923년 4월.






마추픽추 발견 후 찍은 첫 번째 사진. 1912년.







Cape Canaveral 공군기지의 발사대. 1960년 이전.







미국 병사들이 찾아낸 마네의 In the Conservatory 그림. 1945년.

독일 salt mines of Merker에 숨겨져 있었다.






미 해군 비행선 Macon을 만드는 공장 내부. 1932년.







네바다에 새로 건설된 대륙 횡단 열차를 보고 있는 미국 원주민. 1868년 추정.







맥도날드 햄버거의 원조 캐릭터인 Ronald clown. 1963년.







미국 레이건 대통령 암살 시도 당시의 현장 모습. 1980년 3월 30일.







캘리포니아에서 벌목꾼들이 1000년도 넘은 Redwood를 자르고 있다.







타이타닉 호의 승선권. 1912년 4월 10일.







건조 중인 타이타닉 호의 프로펠러. 1912년.







항해 중인 타이타닉 호의 마지막 사진. 1912년 4월.







네덜란드의 Heemskerk 해수욕장에서 풍기문란죄로 단속중인 경찰. 1931년.








미국 군함 Missouri 선상에서 일본의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있는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 1945년.






히틀러가 초대형 railway gun 인 ‘Schwerer Gustav’의 시험 발사를 보고 있다.







영국의 고고학자 Howard Carter가 투탕카멘의 무덤을 발굴하고 있다.







일본의 사무라이. 1860-1880년 사이.







디즈니 스튜디오를 오픈한 월트 디즈니와 Roy O.
디즈니. 오른쪽 여자는 어머니


옛 마포나루 주변풍경           

            
노변 음식점


연모를 파는 좌판 상인 연모를 파는 좌판 상인

댕기 등 다양한 물품을 파는 노점상

장날 잡화상과 노점

도기시장

1900년 마포나루

만물상

밤이섬이 보이는 마포나루

구한말 5일장

건어물과 건과실을 파는 건물상

노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