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암 타고 흐르는 낙수의 절경 ‘무주 월하탄계곡’
기암 타고 흐르는 낙수의 절경 무주 월하탄계곡 2011년 3월, 한국 영화의 거장 임권택 감독이 101번째 작품을 내놓았다. 제목은 <달빛 길어올리기>. 안타깝게도 영화는 대중에게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렇지만 한지라는 독특한 소재와 임권택 감독 특유의 서정적 표현이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와 잘 어울린다. '조선왕조실록 복본 사업'을 위해 덕유산에서 전통 방식으로 한지를 뜨는 장면은 영화의 서정성을 유감없이 보여준다. 출입금지 지역이라 밤에 몰래 작업하는 주인공들 옆에 폭포가 흐르고, 하늘에는 달빛이 고요하게 비춘다. 폭포는 달빛을 고스란히 품고 떨어진다. 그 물을 받아 빚어내는 한지에는 청아한 듯 맑은 기운이 감돈다. 영화의 대미를 장식한 장면은 무주구천동 의 월하탄계곡이다. 선녀들이 달빛 아래 춤을 추며 내려오듯, 여러 갈래의 폭포수가 기암을 타고 쏟아지는 풍경이 아름답다. 월하탄계곡의 서정성은 영화 속 효경(예지원 분)의 마무리 대사가 더해져 더욱 짙게 배어난다. "(달빛은) 아무것도 자랑하지 않는 친근한 빛으로 조용히 어둠을 밝혀요. 고요하고 은은하고 부드러우면서도 질긴 한지의 품성이 달빛과 너무 닮았어요. 우리의 마음이 순수하고 담담하고 조용해졌을 때, 한지와 같은 달빛은 한 가득 길어 올려질 거예요. 달빛은 길어 올린다고 해서 길어 올려지는 것이 아니에요. 달빛은 그대로 두고 마음으로 그 빛을 보듬을 때 비로소 한 가득 길어 올려지는 거예요." 여러 갈래의 물줄기가 떨어져 내리는 월하탄계곡 월하탄계곡에서 내구천동이 시작되다 월하탄계곡은 무주구천동이 품은 33경 중 15경이다. 1경인 나제통문에서 14경인 수경대까지는 관광단지 밖에 자리해 외구천동, 15경인 월하탄계곡부터 내구천동이라 부른다. 삼공탐방지원센터에서 백련사 방면으로 계곡을 따라 20여 분 걸으면 장쾌한 물소리와 함께 월하탄계곡이 모습을 드러낸다. 잔잔하게 흘러온 계곡물이 낙수가 되어 기운차게 내려앉는다. 폭 50m로 너르게 흐르는 계곡물이 암석단애를 타고 여덟 줄기로 떨어진다. 물줄기의 아름다움을 더욱 빛내주는 조연은 기암이다. 커다란 바윗덩어리 위로 물이 흐르는 부분은 옴폭 파이고 나머지 부분은 볼록 튀어나와 낙수와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기암은 물을 품고, 물을 기암의 살을 타고 넘는다. 둘의 조화로 높이 7m의 작은 폭포 여러 개가 모여 있는 광경은 경험하지 않고는 말하기 힘들다. 자연의 맑은 기운이 가슴 가득 밀려온다. 폭포보다는 경사가 완만하고 낮지만, 탄(여울)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기암을 타고 떨어지는 모습은 가히 폭포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아쉬운 점은 낮이라 영화에서처럼 달빛을 품은 그윽함은 전해지지 않는다는 것. 그렇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다. 여행지의 낮과 밤은 서로 다른 얼굴을 보여준다. 달빛의 서정성 대신 태양 아래 호방함이 빛난다. 자연보호와 등반객 안전을 위해 계곡 밑으로 내려갈 수 없어 계곡의 진면목을 마주하지는 못한다. 아쉬운 대로 월하탄계곡 안내판이 있는 쉼터를 전망대 삼아 시원스레 떨어지는 물줄기를 바라보면 된다. 월하탄계곡을 즐기는 방법은 먼저 눈을 감고 스크린 가득 묻어났던 달빛 아래의 고요함을 그린다. 영화를 보지 않았다면 선녀들이 달빛 아래 춤을 추며 내려오는 모습을 상상한다. 그런 다음 청아한 물소리를 귀에 담는다. 계절에 따라 수량이 달라지고, 그에 따라 소리도 다르다. 소리를 통해 월하탄계곡의 청아함을 느낀다. 마지막으로 눈을 뜨고 월하탄계곡을 바라본다. 눈을 감고 떠올렸던 모습과 소리로 접했던 느낌이 얼마나 같은지 확인한다. 그리고 바위와 물, 나무와 하늘이 어우러진 계곡의 전체 모습을 담는다. 월하탄계곡 전경 월하탄계곡 물줄기 월하탄계곡 물줄기 월하탄계곡과 교각 항일 의병의 활약지 월하탄계곡과 16경인 인월담 사이에는 의병대장 문태서 순국비와 구천동수호비가 있다. 탐방로 옆에 있건만 사람들은 시선을 외면한다. 이곳에 순국비가 세워진 것은 구한말 호남 의병장 문태서와 의병들이 1908년 2월 일본군 헌병대와 격전을 벌여 승리를 거둔 항일격전지이기 때문이다. 문태서는 1906년 함양군 안의에서 의병을 일으키고 덕유산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1909년 이토 히로부미(이등박문) 암살 계획을 세우고 일본통감부로 북진하던 중, 경부선 철도를 이용하던 일본 경비병과 일본인을 사살하고, 이원역 건물과 화물열차에 불을 질러 '이원역 소각전'을 일으킨 장본인이다. 이후 크고 작은 전투 500여 회에서 최소한 일본군 천여 명을 사살한 것으로 알려졌다. 순국비 옆에는 6·25전쟁 때 구천동계곡에 숨어 있던 인민군에게 희생당한 이들을 기려 세운 구천동수호비가 있다.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면 보인다"고 했다. 월하탄계곡의 아름다움에 이끌려 무주구천동을 찾았는데, 그 속에 깃든 우리 역사의 편린까지 찾아낸다면 더욱 풍성한 여행이 되지 않을까. 구천동계곡에 서린 피의 역사는 무주라는 지명에서도 찾을 수 있다. 무주는 무풍의 '무'와 주계의 '주'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나제통문에서 알 수 있듯, 삼국시대에는 신라와 백제의 국경이 서로 맞닿았던 곳이다. 그런 만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피를 흘렸던지 백제는 주계를 붉은 하천이라는 뜻에서 '적천(赤川)'이라 불렀고, 신라가 주계를 차지하고 난 뒤에는 붉은 강이란 뜻의 '단천(丹川)'이라 했다. 많은 사람들이 가을 단풍 때문에 '적'자와 '단'자가 붙은 것으로 오해하고 있다. [왼쪽/오른쪽]구천동수호비 / 의병장 문태서 순국비 자전거 하이킹 코스로도 좋다 월하탄계곡 위로 구천동계곡이 계속 이어진다. 등산을 목적으로 한다면 덕유산 정상인 향적봉까지 걸어도 무방하지만, 가벼운 산책이나 트레킹 정도를 생각한다면 19경인 비파담까지 오르는 게 좋다. 탐방로 정비가 잘 돼 있어서 왕복 2시간이면 충분히 다녀올 수 있다. 자전거 하이킹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덕유대야영장 입구에서 인월대까지는 옛길을 자연관찰로로 복원해 훨씬 아늑한 산길을 따라 걸을 수 있다. 인월담은 구천동계곡에서 유일하게 확 트인 하늘과 덕유산 봉우리를 배경으로 한 경관을 간직한 곳이다. 너른 바위에 걸터앉아 낮게 떨어지는 계곡물을 보며 잠시 쉬어 가기 좋다. 인월담에서 사자담 가는 길은 계곡 옆에 철제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잠시라도 덕유산이 품은 계곡을 느끼려는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옛길이다. 비파담은 월하탄계곡과 닮았다. 커다란 암반 위로 흐르는 물줄기가 여러 갈래 낙수를 이룬다. 여러 갈래로 쏟아지는 모습이 마치 비파를 닮았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산으로 들어갈수록 계곡은 깊어가고, 고요한 가운데 물소리는 더욱 선명하다. 기암괴석이 계속 이어지며 쉽게 눈을 뗄 수 없는 풍경을 연출한다. [왼쪽/오른쪽]걷기 편한 탐방로 / 인월담 풍경 [왼쪽/오른쪽]인월담 아래로 이어지는 계곡 / 사자담으로 이어지는 계곡 [왼쪽/오른쪽]사자담으로 연결되는 철제 난간 / 그윽한 풍경의 계곡 자전거를 타고 탐방로를 달리는 연인 여행정보 - 1.찾아가는길
- * 자가운전
대전통영간고속도로 → 무주IC → 적상면삼거리 좌회전 → 19번 국도 → 치마재 → 하조사거리 직진 → 구천동로(37번 국도) 무주리조트 방향 → 무주리조트 입구 → 삼공삼거리 우회전 → 삼공탐방지원센터 → 월하탄계곡 * 대중교통 서울→무주구천동 : 서울남부터미널(02-521-8550)에서 1일 1회(07:40) 운행, 3시간 40분 소요. 서울→무주 : 서울남부터미널(02-521-8550)에서 1일 5회(07:40, 09:20, 10:40, 13:40, 14:35) 운행, 3시간 소요. 대전→무주구천동(리조트) : 대전복합터미널(1577-2259)에서 1일 5회(07:20, 10:30, 13:20, 16:10, 17:50) 운행, 1시간 40분 소요. 부산→무주 : 부산종합터미널(1577-9956)에서 1일 6회(08:00, 10:00, 12:30, 15:00, 17:00, 19:00) 운행, 3시간 10분 소요. 무주→무주구천동 : 무주공용터미널(063-322-2245)에서 구천동행 시외버스 이용. 1일 6회(08:10, 11:00, 13:00, 16:10, 17:25, 18:00) 운행. - 2.맛집
- 금강식당 : 무주읍 읍내리 / 어죽 / 063-322-0979
하얀섬금강민물 : 무주읍 당산리 / 민물고기매운탕 / 063-324-1483 반딧골한우애반햇소 : 무주읍 가옥리 / 차돌냉면 / 063-322-9272 고구려가든 : 설천면 심곡리 / 생고기 / 063-322-4456 - 3.숙소
- 로베펜션 : 설천면 삼공리 / 063-322-9914 / mujulaube.com
그랜드펜션 : 설천면 삼공리 / 063-322-9110 / grandp.co.kr 다숲펜션 : 설천면 삼공리 / 063-322-3379 / www.dasup.kr
글, 사진 : 오주환(여행작가)
|